본문 바로가기

history27

민족 문화 운동을 통한 민족 정체성 수호 1910년 강점 이래 일제는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만들려는 식민지 동화 정책을 꾸준히 실시하였습니다. 이러한 일제의 식민지 동화 정책에 맞서 국학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3.1 운동 이후 임경재 등이 중심이 되어 창립한 조선어 연구회는 한글 연구와 보급을 목적으로 도시를 순회하며 월례 발표회를 진행하였습니다. 나아가 '가갸날'을 제정하고, "한글이란 잡지를 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조선어 연구회는 1931년에 조선어 학회로 개칭하고, 이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말 큰사전" 편찬을 위해 심혈을 기울였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출간하지 못하고,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산되고 말았습니다. 우리 역사의 타율성과 정체성을 주장하는 일제 식민 사관의 역사 왜곡에 맞서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2022. 10. 31.
민족 실력 양성 운동 3.1 운동 전후 해외에서는 당시 식민주의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던 사회 진화론에 대한 대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었습니다. 미국 윌슨 대통령은 새로운 세계 질서의 원칙으로 민족 자결주의를 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의 레닌은 제국주의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산주의를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크로폿킨 등은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으로 하는 아나키즘을 주장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국제 연맹이 탄생하게 되었고 제국주의 국가 간의 이해 조정이 일어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식민지의 독립 문제가 국제적 현안으로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 흐름은 식민지 또는 반식민지의 민족 운동에도 영향을 주어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민족 실.. 2022. 10. 24.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권 회복을 위해 전개되었던 애국 계몽 운동과 항일 의병 투쟁은 을사늑약의 체결을 전후하여 국권 피탈 이후 민족의 독립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1910년 국내의 독립운동은 일제의 가혹한 무단 통치 아래에서도 비밀 결사의 형태로 전개되었습니다. 독립 의군부는 1912년 고종의 비밀 지시를 받은 임병찬이 유생들을 규합하여 조직하였습니다. 독립 의군부는 일본 정부와 조선 총독 및 주요 관리들에게 일제의 국권 피탈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국권 반환을 촉구하는 요구서를 보냈습니다. 또한, 고종의 복위를 꾀하며 일제를 몰아내기 위해 전국적인 의병 전쟁을 계획하였습니다. 공화 정치를 목표로 한 대한 광복회는 1915년 대구에서 박상진을 주축으로 조직되었습니다. 전투적인 군대식 조직을 갖춘 대한 광복회는 만주에 무관 학교를.. 2022. 10. 20.
일제의 침략과 식민통치 1910년 국권을 빼앗은 일제는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고, 식민지 지배 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총독은 일본 천황에게 직속된 조선 내 최고의 권력자로 육, 해군 현역 대장 중에서 임명하였으며, 입법, 사법, 행정은 물론 군사에 관해서도 권력을 행사하였습니다. 총독부의 주요 관리는 일본인이었고, 총독의 자문 기구로 중추원을 두었으나 실질적인 기능은 행사하지 못하였으며, 한국인의 정치적 권리 및 참여는 철저히 배제되었습니다. 1910년대에 일제는 헌병 경찰제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무단 통치를 실시하였습니다. 헌병 경찰들은 의병 학살과 독립 운동가 체포는 물론 호적 사무, 세금 징수, 일본어 보급 등 각종 행정 업무까지 수행하였습니다. 일제는 행정 관리 뿐 아니라 교원들까지 제복을 입히고 칼을 차게 하.. 2022. 10. 17.